2005년 11월 22일에 2세대 모델(코드네임 CM)로 풀체인지되었다.
1세대와 같은 식으로 이번에는 NF 쏘나타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차체 디자인이 머슬을 강조한 1세대 모델과는 정반대로 둥글둥글한 곡선을 강조한 디자인을 채용해 도시형 SUV에 맞게 한층 스타일리시해졌다는 평가를 받지만, 반대로 당시 한창 잘 나가던 인피니티의 SUV 모델인 FX 계열의 디자인을 베꼈다는 지적이 많았다.
다만 이는 일부분의 모양만 보고 그랬던 것일 뿐, 실제로는 디자인이 비슷하지도 않기 때문에 이런 지적은 곧 사라졌다.
라디에이터 그릴이 네모나고 헤드라이트가 가늘어서 비슷해 보일지 모르겠지만 조금만 자세히 보면 선의 형태가 전혀 다르다.
FX의 그릴과 헤드라이트가 날카로운 직선적인 느낌인 것과는 다르게 싼타페 CM의 그릴과 헤드라이트는 둥글둥글하다.
그리고 그 외의 부분은 아예 비슷한 느낌조차도 없다.
2005년 당시는 수입차가 널리 보급되기 전이며 다양한 자동차들을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많아서 어디선가 본 느낌과 조금 비슷하기만 하면 덮어놓고 베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여담으로 초록색 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는 싼타페 2세대는 초록색 번호판 그랜저 4세대(TG) 극초기형 급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차령이 어느정도 됐다 보니 의외로 보기 힘들다.
초기에는 1세대 모델보다 배기량과 출력 효율이 향상된 153마력 2.2리터 디젤 엔진만 얹었지만 2006년 대한민국에 출시된 GM대우 윈스톰과의 경쟁을 위해 배기량 기준을 유로4 기준에 맞춰 새롭게 다듬은 2.0리터 D 엔진을 추가하였고, 북미 지역에는 V6 2.7리터 현대 뮤 엔진과 V6 3.5리터 현대 람다 엔진을 탑재한 가솔린 엔진 트림을 수출하였다.
페이스리프트를 한 싼타페 더 스타일에서는 좀 나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2008년 연식 변경 때에는 사이드 미러 내장 리피터가 추가되었고, 우드 트림이 변경되었다.
또한 국산차 최초로 범퍼 일체형 후방 경보장치를 달고 나온차다. 거기에 1세대에서 팔리다가 없어졌던 V6 2.7리터 DOHC LPG 모델이 잠시 부활하기도 했다.
물론 LPG 엔진은 뮤 엔진으로 변경되었고, 여전히 전륜구동만 나왔다.
안개등이 잘 가시기로 유명하다.
2009년 7월에는 '싼타페 더 스타일' 이라는 이름으로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는데, 이쪽은 베르나 트랜스폼과 마찬가지로 안 하느니만 못한 페이스리프트라는 흑역사로 남아 있다.
조금 더 둥글둥글해보였던 초기형과 다르게 직선이 많이 들어간 페이스리프트였다.
쏘렌토 2세대에 탑재된 R 엔진으로 엔진 라인업을 교체하는 등 상품성 개선에도 움직임이 있었다.
2011년 7월 5일에는 한번 더 페이스리프트를 단행한 2012년형이 출시되었는데, 이전 모델 대비해 괜찮은 디자인으로 디퓨저 및 크롬추가 휠변경과 같은 디테일에 신경쓴 버전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본모델의 범퍼를 2012년형으로 개조한 차주가 꽤 있다.
광고에는 차승원이 출연했고, 스타일리쉬함을 강조했다.
서스펜션 및 인치업 시 드레스업 포텐셜이 좋아서 2015년 기준으로 동호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당시 차종으로는 나름 완성도가 있고, 질리지 않는 디자인으로 2018년 현재도 길거리에 널렸다.
또한 캠핑유행으로 인해 세단을 타는 사람들이 세컨카 개념으로 저렴한 값에 구매하려는 수요층이 있는 편이라서 중고차 시장에서도 인기가 있는 편이라 대우가 좋은 편이다.
싼타페 CM 중고차 가격 시세표 엔카기준
200만원~800만원
싼타페 CM
'자동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우디 a5 스포트백 카브리올레 특징 사진 살펴보기 (0) | 2022.03.08 |
---|---|
코나 하이브리드 전기차 가격 정리 살펴보기 (0) | 2022.03.07 |
싼타페 dm 중고차 가격 살펴보기 (0) | 2022.03.06 |
쏘렌토 중고차 가격 더뉴쏘렌토 살펴보기 (0) | 2022.03.06 |
QM6 가격표,LPG,가솔린 살펴보기 (0) | 2022.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