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정보

스포티지 신형 (더볼드) 가격표 정리 살펴보기

by sur7geon 2022. 3. 8.
반응형

 

2018년 7월 24일에 기아자동차 브랜드 체험관 'BEAT 360'에서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개하고 동시에 공식적으로 시판에 들어갔다. 

 

페이스리프트를 진행하면서 The Bold라는 서브 네임이 추가되었다.

 

기존 모델의 헤드라이트 조사각과 방향지시등 높이에 대한 불만이 꾸준히 제기되었으나, 의외로 기존 금형을 그대로 두고 상품성 향상의 방향으로 페이스리프트를 진행하였다. 

 

K3에 적용된 바가 있는 엑스 크로스(X-Cross) 스타일의 FULL LED 헤드램프가 적용되었고, 범퍼를 비롯한 안개등 부분의 에어밴트 형상은 더욱 가로로 길어졌고, 기아차가 꾸준히 밀어왔던 아이스 큐브 4구 안개등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안개등 쪽 에어커튼이 삭제되었다. 

 

그리고, 핫 스탬핑 공법을 사용하고 폭을 확장한 신규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하고 새로운 형상의 19인치 휠이 적용되었다. 

 

리어의 경우에는 'ㄷ' 형상의 LED 테일램프가 적용되었고 기존에 차체 중앙을 가로지르던 크롬 장식을 삭제함으로써 리어램프와의 연결감을 높였다. 

 

 

 

 

주유구의 경우에는, 디젤 엔진 모델은 기존의 LNT 방식으로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던 것과 달리 요소수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형상이 변경되었다. 

 

이 때문에 기존 스포티지의 완전한 신형개조는 불가능할듯 하다.

 

실내의 경우에도 형제차인 투싼과는 다르게 기존의 수직형 레이아웃을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상품성 향상에 주력하였다. 

 

 

스티어링 휠의 모양이 변경되었고 에어밴트 디자인도 개선되었으며 8인치 네비게이션의 경우 심리스 형상을 적용하여 디자인 심미성을 높였다.

 

기존 모델의 경우에는 수동변속기 모델과 가솔린 모델에서는 스타일 UP 패키지가 선택이 불가하여 수동변속기와 가솔린 모델을 의도적으로 차별하는 것 아니냐는 구매자들의 불만이 제기되었고, 페이스리프트를 하여 수동변속기 모델과 가솔린 모델 모두 패키지 선택이 가능해짐으로써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국내 시판 기준으로 파워트레인 라인업은 R 2.0 디젤, 스마트스트림 U3 1.6 디젤, 누우 2.0 가솔린으로 총 3가지로, 스마트스트림 D 엔진의 경우에는 현대기아차 완성차 라인업 최초로 '스마트스트림'의 브랜드명을 가지고 적용된 디젤 엔진이다. 

 

 

 

 

동급 최초로 R 2.0 디젤 모델에는 기존의 싼타페, K7 등의 모델에 탑재되었던 전륜 8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고 스마트스트림 D 모델에는 7단 DCT가 들어간다. 

 

가솔린 2.0 에는 6단 자동변속기가 들어간다. 변속기 개선을 통하여 R 2.0 디젤 모델은 기존보다 0.5km/L 높아진 14.4km/L(2WD AT, 17인치 타이어 기준), 스마트스트림 D 모델의 경우에는 16.3km/L(2WD AT, 17인치 타이어 기준)의 연비를 기록하였다.

 

 

또한, 국산 동급 최초로 고속도로 주행 지원 시스템(HDA)가 탑재되어 상품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운전자 주의 경고(DAW), 차로 이탈방지 보조(LKA), 하이빔 보조(HBA) 등의 운전자 편의 시스템도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하였고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UVO IoT 서비스(홈투카)'가 적용되었다.

 

 

다만 1.6 스마트스트림 엔진의 경우 최대 출력, 최대 토크 모두 낮아지고, 최대 토크가 나오는 RPM 영역대는 대폭 줄어들었다. 

 

배기량이 낮아진 만큼 연비는 좋아졌지만. 출력과 토크가 낮아지고, 최대토크 RPM영역이 좁아지면서 주행감 면에서는 오히려 손해를 봤을 가능성이 크다.(물론 다른부분에서 보완을 했겠지만)

 

기존의 1.7 디젤은 4WD를 선택할 수 없었으나 페이스리프트 이후 1.6 디젤은 4WD을 선택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0 가솔린 모델은 여전히 4WD를 선택할 수 없다. 

 

또 가솔린 모델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사설업체에서 DIY해야하는등 여전히 디젤과 가솔린간에 옵션차별도 존재한다. 

 

그나마 다행인것이, 페리 전에는 드라이브 와이즈를 넣으려면 무조건 디젤 2.0 최상위 트림을 선택해야 했던것에 비하면, 대단한 발전이다.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타이어 제원은 17~19인치 휠 모두 이전 연식과 비교했을 때 변함이 없다.

 

셀토스 출시 이후로 셀토스에게 밀려 점유율을 뺏겼으며, 그 결과 2020년 1월에는 1,175대를 파는데 그쳐 스포티지 역사상 최저 기록을 세웠다.

 

 

 

 

2020 스포티지 신형 사진

 

 

 

 

 

 

 

 

 

2020 기아 스포티지 가격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