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로밍, 국제전화 가격 차이나는 이유와
해외 체류 시 데이터 저렴하게 사용하는 팁
외로밍 국제전화
한국인들이 중국으로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 휴대폰 해외로밍을 신청해서 사용하면 로밍 요금을 별도로 내야 합니다. 중국인들이 중국에서 쓰던 휴대폰을 한국에 와서 그냥 로밍해서 쓸 때에도 역시 로밍 요금을 내야 하죠.
그런데 ‘한국 → 중국’ 로밍 요금과 ‘중국 → 한국’ 로밍 요금의 차이가 큽니다. 한국 휴대폰을 그대로 중국으로 들고 가서 로밍 신청 후 사용하면 요금이 분당 천 원이 넘는데, 중국 휴대폰을 그대로 한국으로 들고 와서 로밍 신청 후 사용하면 분당 200원이 채 안됩니다.
한국인과 중국인 모두가 각국으로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 편하게 쓰라고 망을 열어주는 것일텐데, 왜 실제 요금은 5배 넘게 차이가 날까요? 왜 한국인이 중국에서 휴대폰 쓸 때가 더 비싼 요금을 부과하는 걸까요?
해외로밍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부터 해외로밍 및 국제전화 요금이 나라마다 다른 이유, 그리고 해외에서 휴대폰 사용 시 데이터를 조금이라도 더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팁까지 하나씩 공유 드리겠습니다.
해외로밍, 어떻게 이루어지는 걸까요?
로밍은 잠시 생활하게 되는 외국의 통신사 망을 잠시 빌려 쓰는 기능인데요. 우리가 해외에서 숙박을 할 경우 그 나라의 호텔 방을 잠깐 빌려 쓰듯 로밍도 같습니다. 눈에 안 보여서 그렇지, 그 나라 통신망을 (호텔 방 빌리듯이) 잠깐 빌려 쓰는 것입니다.
호텔 방이야 우리가 직접 인터넷에서 찾거나 바로 호텔 로비에 가서 빌리면 되지만, 로밍을 위한 통신망은 소비자가 직접 빌릴 수가 없죠. 반드시 중간에 ‘통신사업자’가 다리를 놔줘야 합니다.
즉, S 통신사 가입자가 중국에 가서 휴대폰을 로밍해서 쓰려면 S 통신사가 중국 통신사에게 “이 고객님이 저희 고객인데 중국에서 통신망 좀 쓰신다니까 쓰게 해주세요. 요금은 저희가 따로 정산해 드릴게요.” 이렇게 꼭 말을 해줘야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비자는 중국에서 휴대폰을 쓴 대가로 로밍 요금을 S 통신사에 내고요. S 통신사는 소비자에게 지불받은 로밍 요금에서 소개비를 좀 떼고 다시 중국 통신사에게 가져다 줍니다. 여행사를 통해 여행을 준비할 때 전체 여행비를 지불하면 여행사가 마진을 떼고 현지 호텔이나 식당 등에 지불하는 것과 같은 구조죠.
그럼 해외로밍 요금은 왜 차이가 나는 걸까요?
통신사가 중간에서 가져가는 소개비 마진이 다를 수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양국 간에 오가는 관광객 숫자’ 때문입니다.
중국 통신사는 “우리 회사 휴대폰 고객이 1년에 500만 명이나 한국으로 가는데, 로밍 요금 분당 얼마에 해줄 건가요? 싸게 안 해주면 다른 회사 망 빌리려고요. 통신사가 S사만 있는게 아니잖아요? 제시하는 분당 가격이 맘에 들지 않으면 다른 통신사랑 계약하겠습니다.” 이렇게 말하죠.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 가는 관광객은 그들이 제시하는 숫자보다 훨씬 적으니까 우리나라 통신사 입장에서는 협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만일 중국에서 운영되는 통신사가 많다면 다른 통신사랑 논의해 보겠다고 할 수도 있는데, 중국은 통신사가 3개 뿐이니 그것도 어렵습니다. 그래서 결국은 양국으로 오가는 관광객 숫자에 따른 협상력 차이 때문에 해외로밍 요금 또한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국제전화 요금도 같은 방식으로 정해집니다.
고속버스나 비행기는 멀리 가려면 기름값이 거리에 비례해서 드니까 먼 거리를 가면 비싼 요금을 받는 것이 일반적인데, 국제전화는 내 목소리를 멀리 보낸다고 해서 원가가 더 드는 게 아닙니다. 기존에 깔려 있는 통신선을 이용하는 것일 뿐, 목소리를 더 먼 국가로 보내기 위해 석유나 전기 등의 원료가 더 사용되는 것이 전혀 아니니까요.
항공 요금은 ‘기름값’ 때문에 ‘부산을 가든 뉴욕을 가든 요금은 10만 원만 받자’ 이런 합의가 불가능하지만 국제전화 요금은 일본이든 미국이든 아프리카든 구별 없이 전세계 국가들이 다 합의해서 ‘무조건 1분당 얼마로 통일하자’ 라는 합의가 기술적으로 가능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국제전화 요금이 국가마다 천차만별인 이유는 해외로밍 요금에서 차이가 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나라와 우리나라 통신사 사이 협상력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어떤 나라로 국제전화를 걸려면 중간에 다른 나라에서 깔아놓은 해저 케이블을 빌려 써야 할 수도 있고, 그 나라 통신사에게 “우리나라 고객이 그쪽 나라 아무개에게 전화를 걸려고 하는데, 연결 좀 해주세요.” 와 같은 부탁도 해야 하는데요.
상대국이 통신사들이 많아 서로 경쟁이 치열한 선진국이면 여러 통신사들 중 가격을 싸게 해주는 곳을 골라 거래를 할 수 있는데, 만약 40년 전 우리나라처럼 통신사가 딱 하나만 존재하는 나라라면 그 하나뿐인 통신사가 달라는대로 수수료를 어쩔 수 없이 줘야 합니다.
그런 국가들은 보통 국민 소득이 낮기 때문에 그 나라 국민들이 해외로 전화 걸 일은 거의 없겠지만, 해외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일은 있기 때문에 자국 국민들한테 걸려오는 국제전화를 연결해 주고 받는 달러가 통신사 입장에서 꽤 짭잘한 수익원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벌게 된 돈으로 시내 전화망도 깔고 각종 시설 투자도 해야 하니 국제전화 요금을 아주 비싸게 받는 거겠죠.
정리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통신사들이 해외로밍 요금제를 앞다투어 선보이고 있다는 뉴스가 자주 보입니다. 더 싸게, 더 좋은 퀄리티의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함이지만 그럼에도 로밍 가격은 만만치 않습니다. 해외여행 혹은 해외에서의 생활을 준비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 해외로밍 이외에도 데이터를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공유드립니다.
① 포켓 와이파이 미리 예약하고 렌탈하기
공항에서 포켓 와이파이를 빌리실 수 있습니다. 보통 렌탈하는 곳에서 반납까지 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이 기기의 장점은 하나의 기기로도 여러 명이 데이터를 나눠 쓸 수 있다는 점인데요. 친구나 가족들과 함께 여행을 갈 때 1/n로 비용을 나눠 부담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사람이 부담하는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인터넷에 ‘포켓 와이파이’를 검색하면 렌탈할 수 있는 업체들을 한 눈에 살펴보실 수 있는데요. 떠나기 직전 공항에서 바로 렌탈 업체를 찾을 수도 있으나, 여름 휴가철이나 성수기에는 해외여행을 떠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원하는 날짜에 기기를 바로 렌탈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왕이면 미리 예약하고 맘 편히 받아가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② 해외에서 직접 선불형 유심 구입하기
대학생 분들이 한 달 이상 떠나는 유럽 배낭여행, 직장인 분들이 6개월 이상 가게 되는 해외 출장 등과 같이 현지 체류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그 나라에서 선불형 유심을 직접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공항에 도착하면 통신사 부스들이 있으니 바로 선불형 유심 칩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공항에서 유심 칩을 구입하는 사람들은 99% 외국인이기 때문에, 부스에서도 선불형 유심 칩을 우선적으로 권합니다)
다만, 공항에서 지불하는 데이터 가격은 시내 이동통신사 매장에서 구입하는 것보다 비싼 편이에요. 공항에서 숙소로 이동하여 하루 정도 쓸 수 있는 최소의 데이터 양을 제공하는 유심을 구입한 후, 시내를 돌아다니면서 가장 먼저 보이는 통신사 매장에 들어가 체류 기간 동안 사용할 새로운 유심칩을 구입하는 것이 더 경제적입니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점수 높일 수 있는 5가지 방법 알아보기 (0) | 2022.04.10 |
---|---|
고속도로, 더 저렴하게 이용하려면? (0) | 2022.04.10 |
전세 계약 시 꼭 점검해야 하는 사항들 알아보기 (0) | 2022.04.10 |
은행에서 가입하는 보험, 나에게 이득일까? (0) | 2022.04.10 |
더 싼 보험료로 보험 상품 가입하려면? (0) | 2022.04.10 |
댓글